미국특허권의 존속기간 연장/단축 및 연장된 특허권의 범위
1995년 6월 8일에 개정된 미국특허법에 따르면 미국특허의 존속기간은 미국출원일로부터 (PCT 출원의 국내단계진입 출원의 경우 PCT 출원일로부터) 20년이다 – 1995년 법 개정이전에는 특허출원일과 무관하게 특허발행일 (issue date)로부터 17년이었다. 위 20년의 기간은 경우에 따라 연장될 수도 있고, 또는 단축되는 결과를 낳게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 한국의 대법원이 한국등록특허 제 386487호에 대해, 연장의 근거가…
생명과학 발명에 대한 특허보호대상 여부(Eligibility)를 다룬 판례
2010년부터 2014년에 걸쳐 미국대법원은 특허보호의 대상이 되는(patent eligible) (혹은 보다 정확하게는, 특허의 대상이 되지 않는) 발명의 종류에 대하여 여러 판결을 내렸습니다. 그 중 자연산물 혹은 자연법칙에 기초한 현상을 특허 청구하는 경우 특허의 대상이 되는지의 여부는2013년 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 v. Myriad Genetics사건과2012년 Mayo v. Prometheus사건에서 각각 다루어진 바 있습니다. Mayo…
재심사 과정에서 분할출원로 변경하더라도 자명성 이중특허 거절 회피 불가능
일부계속출원으로 출원해서 등록된 특허에 대해 제기된 재심사 과정 중에, 특허권자가 보정을 통해, 제한명령이 있었던 원출원의 내용만을 포함하도록 하는 보정을 하고 분할출원으로 명명하는 절차를 밟아 분할출원특허로 지정되었다 하더라도, 제한명령에 대응하여 출원된 분할출원이 가질 수 있는 자명성 이중특허예외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하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셀트리온이 화이자/호스피라와 함께 미국에서 Inflectra® 상표명으로 판매하고…
바이오시밀러 “특허 댄스”와 관련된 연방법의 해석과 주법(State law) 적용 여부
2009년에 제정된 바이오시밀러 허가절차에 관련된 법(정식명칭: Biologics Price Competition and Innovation Act of 2009 (“BPCIA”))이 발효된 후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이 곧 시장에 출시가 되고 바이오의약품의 가격이 내려갈 수 있을 것이라고 하는 기대도 있었지만, 현실은 예측했던 대로만 진행되지 않고 그래서 더 흥미진진하기만 합니다. BPCIA는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의 허가 (FDA관할)와 특허를 연계시키는 규정을 포함하고…
[공지] 추수감사절 주간은 쉽니다
HelloIPLaw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사랑해주시는 독자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이번 주는 미국 추수감사절 연휴로 인해 연재를 한 주 쉬어 갑니다. 다음 주에 새로운 소식으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한 주 되십시오. HelloIPLaw블로그 팀 드림
한국 변리사와 고객 간의 소통도 미국특허청 특허심판원 trial 절차에서 비밀유지특권의 보호를 받게 된다
미국특허청은 미국특허대리인(patent agent) 혹은 해외 법률대리인(해외 변리사 및 해외 변호사 포함)과 고객 사이에 있었던 소통에 대해서도 미국변호사-고객 사이의 소통에 대해 적용되는 비밀유지특권(attorney-client privilege)을 미국특허청 특허심판원에서 행해지는 trial 절차(즉, IPR, PGR, CBM, derivation 절차)에 적용한다고 하는 규칙을 발표했습니다. 82 Fed. Reg. 51570-75 (2017년 11월 7일). 이 규칙은 2017년 12월 7일부터 적용이…
[공지] 추수감사절 주간은 쉽니다
HelloIPLaw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사랑해주시는 독자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이번 주는 미국 추수감사절 연휴로 인해 연재를 한 주 쉬어 갑니다. 다음 주에 새로운 소식으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한 주 되십시오. HelloIPLaw블로그 팀 드림